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약/마태복음180

마태복음 1장 1-17절 뿌리 - 조향록 목사 설교본문 : 마태복음 1장 1-17절 설교제목 : 뿌리 설교자 : 조향록 목사님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들을 낳고,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람을 낳고, 람은 아미나답을 낳고 아미나답은 나손을 낳고 나손은 살몬을 낳고,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이새는 다윗 왕을 낳으니라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고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사를 낳고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고 요람은 웃시야를 낳고, 웃시야는 요담을 낳고 요담은 아하스를 낳고 아하스는 히스기야..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17절 성탄의 뿌리 - 김광선 목사 설교본문 : 마태복음 1장 1-17절 설교제목 : 성탄의 뿌리 설교자 : 김광선 목사님 설교 준비가 잘 된 주간은 주일이 기다려집니다. 내가 은혜 받은 말씀을 성도들과 함께 나눌 수 있다는 기대감이 주일을 기다리게 만듭니다. 하지만 설교 중에서 가장 어려운 설교가 절기 설교입니다. 성탄절에 관한 성경의 본문은 한정이 되 있습니다. 지난 20여년 동안 아마 성탄절 설교를 50번 이상 했을 것입니다. 같은 설교를 반복할 수도 없고 그래서 고민하게 됩니다. 올해도 한 달전부터 성탄절 설교를 고심하고 있었는데 마태복음 1장을 읽다가 놀랄만한 성탄의 뿌리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성탄절이 다가 오기 한달 전부터 상점과 호텔, 음식점에는 크고 작은 산타 할아버지와 썰매 모형물들, 예쁜 방울들과 별들, 그리고 꼬마전구..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17절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를 기술한 책 - 송다니엘 목사 설교본문 : 마 1장 1-17절 설교제목 :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를 기술한 책 설교자 : 송다니엘 목사님 공관복음서(마태, 마가,누가)는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입, 초기 사역, 후기 사역, 수난, 부활. 마태 복음도 이에 따르는데, 1:1-4:11까지는 도입 부분, 즉, 예수님의 소년 시절과 세례를 다루고, 4:12-11:1까지는 초기 사역을 다룬다. 마태복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 중의 하나는 그의 구속사에 대한 관심이다. 그는 자주 예수님 안에서 그리고 그분의 사역 안에서 구약의 약속이 성취되는 것을 가리켰다. „이는 선지자 이사야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4:14)와 비슷한 표현이 많이 등장한다. 즉, 하나님께서 구약에서 계획하시고 예언하신 구원에 대한 약속들이 예수님을 통..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17절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 - 최동규 목사 설교본문 : 마태복음 1장 1-17절 설교제목 :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 설교자 : 최동규 목사님 마태복음의 첫 단락에 해당하는 오늘 본문은 분량은 길지 않지만 읽기가 쉽지 않아서 대충 읽고 건너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이 부분은 마태복음의 총 주제인 ‘구약 예언의 성취자로서의 예수 그리스도’를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언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성탄절을 즈음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에 나타난 몇 가지 의미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마태복음은 일차적으로는 유대인들을 염두에 두고 쓰인 복음서입니다. 그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계보는 매우 중요했습니다. 계보를 따지지 않고 예수님이 어떤 분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유대인들에게는 별로 설득력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마태는 구조상으로 매우 정교하게 계보를 구성했..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25절 구속사로 본 아기 예수님 탄생의 의미 - 김성주 목사 설교본문 : 마1장 1-25절 설교제목 : 구속사로 본 아기 예수님 탄생의 의미 설교자 : 김성주 목사님 1. 들어가면서 아기 예수님의 탄생으로 현실화 된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incarnation) 사건은 어느 날 갑작스럽게 일어난 자연적이고 평범한 세속사가 아닙니다. 하나님의 전 우주적 경륜 속에서 일어난 계시적 사건입니다. 곧 창세 전(엡1:4-6)부터 수립된 하나님의 영원하신 목적으로서 구원계획을 피조 세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성취시키기 위해 의도된 구속사의 일환이란 사실입니다(갈4:4). 하나님께서는 이상의 구속사를 구체적으로 진행시키고자 선악과 언약(창2:17) 속에 담긴 금령법을 어김으로 범죄한 아담과 하와를 대상으로 한 언약을 맺으십니다. 이것이 창3:15에 언급된 소위 ‘여자의 후손’언약..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17절 예수님의 족보가 주는 의미 - 김영하 목사 설교본문 : 마1장 1-17절 설교제목 : 예수님의 족보가 주는 의미 설교자 : 김영하 목사님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읽을 때 예수님의 족보를 읽다가 성경을 덮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생소한 외국인의 이름에 질려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족보의 의미를 바로 깨달으면 생각이 바뀔 것입니다. 1. 마태복음의 족보와 누가복음에 나오는 족보는 왜 다른가? 누가복음의 족보는 아래서부터 시작하여 하나님까지 올라갑니다. 하나님이 창조한 인간 속에서 예수님이 그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는 진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여인이나 병자들 가난한 자들과 같은 소외계층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누가는 여인들의 이름을 올리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그의 독자가 데오빌로 각하라고 되어있는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자신은 세계..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17절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 - 윤석준 목사 설교본문 : 마1장 1-17절 설교제목 :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 설교자 : 윤석준 목사님 서 론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라” 성경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보았을 마태복음 1장 1절 말씀입니다. 이 문구는 마태복음의 시작이면서, 동시에 전체 복음서의 시작문구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신약성경 전체를 시작하는 문구이기도 합니다. 이 문구가 복음서의 시작이요, 동시에 신약성경 전체의 시작이라는 말은 곧, 이 복음서와 신약성경 전체가 사실은 이 구절이 말하고 있는 바대로 “우리 구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이야기다”...라는 말이 되겠습니다. 신약 시대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시대’라고 특징지어질 수 있습니다. 신약 시대 모든 초점이 예수님께 있다는 뜻이죠. 우리는 신..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절 마태복음 서론 - 차용철 목사 설교본문 : 마태복음 1장 1절 설교제목 : 마태복음 서론 설교자 : 차용철 목사님 1. 기록자 마태복음 자체에서는 저자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본서를 애용하던 초대교회 때부터 본서의 저자가 마태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누구도 반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서의 기자를 마태로 받아들이는 것이 당연시 되었습니다. '마태'는 예수님의 제자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마태'는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에서는 '레위'로 기록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이름이 두개였을 수도 있고 예수님을 만난 이후에 레위로 개명했을 수도 있습니다. 마태는 직업은 가버나움의 세리였습니다. 세관원 출신이었기 때문에 예수님의 행적을 논리적으로 기록하고 예수님의 가르침을 상세히 기록할 하고 특히 화폐와 수치에 대해 자세히 기록할 수 있었습니다. 2. 기.. 2023. 2. 23.
마태복음 1장 1-17절 구속사의 주역이 되자 - 차용철 목사 설교본문 : 마태복음 1장장 1-17절 설교제목 : 구속사의 주역이 되자 설교자 : 차용철 목사 1~17절까지는 예수님의 족보가 기록되었습니다. 그런데 1절은 총론적으로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고 했습니다. 예수님이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이라는 것을 천명하는 것입니다. 인류의 최초 조상은 아담입니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그리스도(구원자)를 보내 주실 것을 약속했습니다. 자손이 뱀의 머리를 밟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창3:15). 그 약속은 아브라함에게 구체적으로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자손을 하늘의 별같이 많게 해 주신다고 했습니다 (창12,13,15,17,22장, 갈3:16). 그리고 그 약속은 선지자들을 통해 예언되었습니다. 그래서 선지자들은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으로 오신다고 예언.. 2023.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