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한계시록14

요한계시록 5장 11-14절 죽임당한 어린 양 - 박은호 목사 설교본문 : 요한계시록 5장 11-14절 설교제목 : 죽임당한 어린 양(부활절 넷째주일) 설교자 : 박은호 목사님 부활절 넷째 주일입니다. 주님은 지금도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그 주님께 우리도, “주여 저도 주님을 사랑합니다. 제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십니다” 감히 고백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일전에 殉敎地 巡禮 次, 전라남도 신안군의 ‘임자도’와 ‘증도’에 다녀왔다고 말씀드린 적 있습니다. 버스로 밤 9시 넘어 ‘임자도’로 가는 배를 탈 수 있는 부두에 도착했습니다. 밤 10시에 떠나는 막배를 기다렸습니다. 부두 주변과 밤바다는 이미 깜깜했습니다. 시간이 되어 막배를 타고 가는데, 불빛 한 점 없는 밤바다를 우리가 탄 배는 헤드라이트도 비추지 않고 갑니다. 이상하다, 앞도 보이지 않는데 밤.. 2023. 4. 5.
열왕기하 22장 8-13절 성서 한국의 비전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왕하 22장 8-13절, 계 1장 3절 설교제목 : 성서 한국의 비전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이야기 하나. YMAM총재 로렌 커닝햄이 최근에 쓴 “열방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책”에 보면 ‘작은 땅 핏케언에서 일어난 혁명’이라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1991년 7월 로렌 커닝햄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갬비어 제도에서 사흘간 배를 타고 망망대해에 떠있는 핏케언이라는 이 작은 섬을 방문하여 놀라운 사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섬은 2평방 마일의 작은 섬으로 불과 55명의 주민들이 평화롭게 살고 있는 작은 천국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섬이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본래 이 섬은 1789년 영국 군함 바운티 호에서 반란 사건이 일어나 아홉 명의 반란자들이 이 배를 탈취하여.. 2023. 3. 27.
요한계시록 1장 9-20절 웰빙교회 비전(8)밧모섬에서의 주일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계1장9-20 설교제목 : 웰빙교회 비전(8)밧모섬에서의 주일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편안한 환경에서 자라나는 자녀들이 제일 손해보는 일이 무엇일까요? 두 가지 입니다. 첫째는, 그 편안한 환경을 축복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둘째로, 그렇게 자라다가 어려운 환경을 갑자기 대면하면 당황하고 방황한다는 것입니다. 준비가 없었고 경험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무나 순탄한 신앙 환경 안에서 자라난 분들은 그것을 축복으로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갑자기 신앙생활에 위협을 당하는 상황이 전개되면 어쩔줄 모르고 당황하고 방황합니다. 예컨대 갑자기 한 사회안에 정치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생활을 제약받고 억압받고 박해받는 상황이 전개될 때 너무나 .. 2023. 3. 21.
요한계시록 2장 18-29절 웰빙교회 비전(4) 두아디라 교회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계 2장 18-29절 설교제목 : 웰빙교회 비전(4) 두아디라 교회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유진 피터슨이라는 영성 학자는 오늘의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이 부딪치고 있는 가장 큰 윤리적인 문제는 ‘이중 기준’(double standard)의 문제라고 지적한바가 있습니다. 이중 기준의 문제가 도대체 어떤 문제입니까? 이라크 전쟁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아마도 최근 이라크 전쟁에서 반미 혹은 반영 사상을 자극한 가장 대표적인 사건은 아마도 포로학대 사건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왜 사람들이 포로학대 사건에 그렇게도 민감한 반응을 보였을까요? 그것은 미국이나 영국이 평소에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인권국가를 자임해 왔고 인권을 유린해 온 국가들에 대하여 목소리를 높여온 것을 우리가 잘 알기 때문이었습니다. .. 2023. 3. 20.
요한계시록 2장 12-17절 웰빙교회 비전(3) 버가모 교회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계2장12-17 설교제목 : 웰빙교회 비전(3) 버가모 교회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오래전 (1830년대) 어느날 독일 트리에(Trier)에 살던 유대인 소년이 그의 법률가 아버지에게 물었습니다. "아버지, 우리는 유대인인데 왜 유대인 회당에 안가고 교회(독일 루터교회)에 나가요?" 아버지의 대답은 전혀 신앙적인 대답이 아니었습니다. "아들아,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외면(왕따) 당하지 않고 이 땅에서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그렇게 할 수밖에 없단다" 본래 이 소년의 할아버지는 유대인 랍비였습니다. 그의 큰 아버지도 역시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랍비였습니다. 그러나 현실 감각이 빠르고 이재에 밝았던 이 소년의 아버지는 유대인들에 대한 사회적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개신교인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 2023. 3. 20.
요한계시록 2장 8-11절 웰빙교회 비전(2) 서머나 교회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계 2장 8-11절 설교제목 : 웰빙교회 비전(2) 서머나 교회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여러분 가운데는 "여자의 일생"을 쓴 프랑스 작가 모파상(1850-1893)이라는 이름을 기억하실 분들이 많이 계실 것입니다. 그는 본래 신학교에 들어갔다가 퇴학당한 청년이었습니다. 그는 신앙과 결별하기로 하고 자신이 주인이 된 인생을 살겠다고 결심합니다. 그후 문학에 뜻을 두고 정진하여 10년만에 유명작가가 되고 돈을 많이 모으게 되었습니다. 그는 지중해에 요트를 가지고 있었고(1800년대 말) 노르망디에 대 저택을, 파리에는 호화 아파트를 갖고 쉴새없이 애인을 바꾸며 살았습니다. 비평가들은 그에게 찬사를 보냈고 군중들은 그를 흠모했고 그의 은행에는 쓸수 있는 여유로운 돈이 항상 넉넉했지만 그는 안질병.. 2023. 3. 20.
요한계시록 3장 14-22절 웰빙교회 비전(7)라오디게아 교회2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계 3장 14-22절 설교제목 : 웰빙교회 비전(7)라오디게아 교회2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어느 나라일까요? 단순한 GNP비교가 아니라 여러 조건을 종합하여 평가하면 미국이라는 데 이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세계에서 끼니를 굶는 가난한 이들이 가장 많이 사는 나라가 어디일까요? 그것도 미국입니다. 수년전 보고서를 보니까 약 410만가구 1,100만명이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끼니를 굶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북한 인구중 약 1,000만명이 기아에 시달리고 있다고 보면 실제로 북한 인구보다 더 많은 기아인구는 미국에 살고 있는 셈입니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사실은 미국내 결식자가운데 약2백만명은 하루 한끼도 먹지 못하는 날이 종종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는.. 2023. 3. 20.
요한계시록 웰빙교회 비전(5) 사데 교회 - 이동원 목사 설교본문 : 계3장1-6 설교제목 : 웰빙교회 비전(5) 사데 교회 설교자 : 이동원 목사님 웰빙교회 비전(5)사데 교회 수년 전 세상을 떠난 동화작가인 정채봉 선생이 유명한 법정 스님을 산사로 찾아간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무더운 여름이어서 낮잠이나 잤으면 꼭 좋을 그런 날씨이었다고 합니다. 스님이 산사에 계시지 않아 어디선가 낮잠을 주무시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마침 산사 후면 언덕길에서 내려오고 계셔서 무엇을 하고 오시느냐고 물었더니 “칼로 대나무를 깍고 있었다”고 대답하시더랍니다. 칼도 날카롭고 대나무도 날카로운 것이어서 “아니 이런 무더운 날씨에 그런 위험한 일을 무엇 때문에 하셨느냐?”고 물었더니 “졸지 않고 깨어 있기 위해서”라고 대답하셨다고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서 깨어 있는 인생을 .. 2023. 3. 20.
요한계시록 16장 15절 수치가 가리워진 자 - 하용조 목사 설교 설교본문 : 요한계시록 16:15 설교제목 : 수치가 가리워진 자 설교자 : 하용조 목사님 요한계시록에는 2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반드시 이 예언이 이뤄진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이것이 속히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이 예언은 먼 후일의 예언이 아닙니다. 이뤄질 수도 안 이뤄질 수도 있는 예언이 아니라 반드시 이뤄지고 속히 이뤄지는 예언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그래서 계시록 1장 3절에는 “이 예언의 말씀을 읽는 자와 듣는 자들과 그 가운데 기록한 것을 지키는 자들이 복이 있나니 때가 가까움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계시록에 나타난 이 예언의 말씀은 두루마리로 나타나 있습니다. 두루마리를 하나씩 하나씩 공개하고 있습니다. 인을 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두루마리를 가지고 계신 분이 성부 하나.. 2023. 3. 19.
반응형